![]() |
▲ 수성구, 문화·교육 기반 ‘목적지가 되는 도시’ 본격 추진 |
[뉴스시대=김정희 기자] 대구 수성구는 인구 감소와 산업 구조 변화, 삶의 방식 전환이 동시에 진행되는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문화와 교육을 경제의 동력으로 삼는 전략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수성구는 도시를 단순한 생활 터전이 아닌, 사람들이 찾고 머무르며 경험하는 ‘목적지가 되는 도시’로 만들기 위해 방문에서 체류로, 소비에서 경험으로, 공간에서 서사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있다.
그 시작은 수성의 상징인 수성못 수상공연장이다.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공연장은 자연 친화적 구조로 조성되며, 주민과 방문객이 자연 속에서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세계적인 뮤지컬과 오페라 공연이 개최될 예정이며, 도시의 중심에서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또한, 수성구는 수성못 수상공연장을 시작으로 들안예술마을과 간송미술관, 대구미술관,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조성될 연호지구 작은미술관 4곳, 사립미술관 10곳, 디자인 특화도서관, 대구스타디움 칼라스퀘어 미디어아트 전시관을 연계한 미술관 클러스터를 잇는 문화벨트를 구축한다.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 2027년 조성 예정인 대구대공원 그리고 수성알파시티 롯데몰(타임빌라스 수성)까지 연결해 도시 전역을 문화·여가·쇼핑이 어우러진 체류형 도시로 도약할 예정이다.
특히 수성구는 수성국제비엔날레와 뚜비 문화·경제 플랫폼을 통해 도시 고유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수성국제비엔날레는 도시 전체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혁신 프로젝트로 건축과 자연, 생활을 작품으로 삼아 글로벌 문화도시로 확장하고 있다. 뚜비 문화·경제 플랫폼은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로, ‘뚜비’ 굿즈 제작, 자수 공예, 공방 창작 활동 등을 통해 주민이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고, 로컬 경제와 문화 산업을 동시에 활성화한다.
교육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 개관 예정인 힐링센터, 2027년 완공 예정인 고산서당 전통문화교육관, 망월지 생태교육관을 통해 전통과 자연, 삶과 지혜를 배우는 교육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고교학점제와 연계한 수(數) 아카데미와 뇌 아카데미 등 수성구만의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을 지원한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도시가 목적지가 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찾고 머무를 이유가 있어야 한다”며 “수성구는 지금 그 이유를 만들고 있으며, 문화와 교육을 기반으로 사람과 경험이 모이는 도시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시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