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뚝섬 수영장 |
[뉴스시대=김정희 기자] “올해 여름, 한강공원 수영장에서 가족‧친구와 특별한 여름 즐기셨나요?”
8일, 서울시가 지난 6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무더위 속 시민들의 사랑을 받은 한강공원 수영장 및 물놀이장 운영 이용객 관련 통계를 발표했다.
1907년 현대식 기후 계측 시작 이래 역대 최장 열대야와 폭염으로 맹위를 떨친 2025년 여름, 한강 물놀이 공간을 찾은 이용객은 73일간 총 55만 2,003명, 일평균 7,560명이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이용객 31만 1,370명과 비교했을 때 1.8배 증가한 수치다. 한강공원 산책만이 아닌 수영 쉼터로 각광받은 뚝섬‧여의도‧잠원 수영장과 잠실‧양화‧난지 물놀이장은 연일 북적이며 시민의 발걸음을 이끌었다. 일별 통계로는 평일 하루 평균 약 4,789명(전년 대비 66% 증가), 주말 및 공휴일에는 약 13,589명(전년 대비 62% 증가)이 찾았다. 한강공원 물놀이 시설이 서울 도심 속 대표적인 휴식처로 자리매김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올해는 22일 연속 열대야(7월 기준 역대 최장), 1일 최저기온 최고치(29.3℃/7월 30일) 등 기록적 폭염이 이어졌다. 이에 서울시 미래한강본부는 지난해보다 운영 기간을 13일 늘리고 5개 시설(양화 제외)은 운영 상시 야간 개장(22시까지 연장)으로 시민들의 더위를 식혔다.
지난해 3주 동안 시범 운영하며 호응을 얻은 야간 개장은 올해 운영 기간 전체로 확대 시행됐다. 한낮의 뜨거운 햇살과 역대 최장 열대야에서 벗어나고자 달빛 아래 한강 수영장을 찾은 이용객은 총 17만 6천 명에 달했다.
한강의 탁 트인 야경과 주변 고층 빌딩의 시티뷰, 수영장 곳곳을 밝힌 LED 조명은 여름밤 특별한 추억을 만들기 충분했고, 시민들의 인증사진이 SNS를 통해 퍼지며 야간 한강 수영장을 찾는 시민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2023년까지 9~18시로 운영되던 한강공원 야외 수영‧물놀이장은, 길어진 무더위와 지난해 시범 운영으로 확인한 야간 수요 증가에 맞춰 운영 시간을 확대했다. 올해는 운영 기간 내내 1일 종료 시점이 4시간 늦춰져 5개 수영장과 물놀이장에서(양화 물놀이장 제외) 22시까지 피서를 즐길 수 있었다.
도심에 위치한 한강 수영장은 넓고 쾌적한 물놀이 공간으로 한강을 바라보며 저렴한 비용으로 수영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게다가 올해는 수영장별로 다양한 색감을 입히는 등 새로운 디자인을 도입해 이용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샤워 시설, 라운지, 매점 등 다양한 편의시설도 확충‧개선하며 시민을 맞이했다.
이외에도 뚝섬 수영장의 유수풀, 한강과 맞닿은 난지 물놀이장의 인피니티풀 등은 색다른 재미를 선사했으며 수영장 곳곳에서는 강렬한 햇살 아래 태닝을 즐기는 시민들이 건강한 여름 분위기를 더했다. 특히 올해는 장기적인 야간 개장을 위해 뚝섬, 여의도 수영장과 잠실, 난지 물놀이장을 대상으로 수영장 내 조명타워, LED 경관조명 등을 설치하여 여름밤의 한강공원 수영장을 더욱 분위기 있게 즐길 수 있도록 정비했다.
더불어 수영장 이용객을 위한 음악 공연 및 영화 상영, 이색 스포츠 체험 등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물놀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색다른 재미를 더했다.
난지 물놀이장에서는 7월 26~27일 한강 ‘시네마 퐁당’을 시작으로 7월 31일~8월 1일에는 물 위에서 회전하는 원통 위를 구르며 누가 더 오래 버티는지를 겨루는 이색스포츠 체험인 ‘롤링 인 더 한강’이 개최됐으며, 8월 9~10일에는 재즈·인디·포크송이 어우러진 ‘한강 뮤직 퐁당’이 열려 시원한 물놀이장에서 물놀이 외에도 여름밤의 정취에 퐁당 빠져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한강 수영장은 올해도 시민들이 깨끗한 환경에서 안심하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수질 및 안전관리, 위생 점검을 실시했다. 그리고 매점, 음식점 판매 제품에 대한 사전 가격 검증을 통해 ‘바가지 없는’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해 이용 시민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힘을 쏟았다.
운영 기간 중 미래한강본부 직원 및 용역사로 구성된 점검반(2인/1조)을 편성, 매일 수질검사 및 시설 점검을 실시한 서울시는 주 1회 보건환경연구원의 정밀검사를 거쳐 대장균 등으로 위생 문제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등 이용객 모두가 깨끗한 환경에서 가족, 연인, 친구들과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주력했다.
서울시 미래한강본부는 올해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운영 기간 및 야간 개장 운영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 보다 나은 물놀이 환경을 구축해 시민들의 피서를 도울 것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기록적인 폭염과 열대야로 지친 시민 여러분께서 올여름 한강공원 야외 수영장‧물놀이장에서 시원한 물놀이와 함께 잊지 못할 여름 추억을 만드셨길 바란다”며, “서울시는 한강을 찾는 시민 모두가 다가오는 가을 한강의 윤슬과 노을을 만끽한 뒤 눈썰매장에서 즐거운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시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