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주도교육청 |
[뉴스시대=김정희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일시 중단됐던 교육정보서비스가 대부분 복구되어 현재 학교 현장과 행정업무에 큰 피해 없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화재로 인해 일시적으로 차질을 빚은 연계 서비스는 학생·학부모 대상 온라인 민원서비스, 내부업무(나이스, 메신저, 누리집, 공직자통합메일 등)의 인증서 로그인 서비스, 우체국계좌 이체 불가, 조달청 계약업무 처리 등이다.
이에 도교육청은 9월 28일 김광수 교육감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서비스별 정상 여부를 점검하고 장애 장기화에 대비한 대응책을 마련했으며 다음 날 등교 이전까지 대부분의 서비스가 복구되어 학사 운영과 학생 안전에는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정부24를 통한 교육제증명 발급 서비스는 지난달 29일 오전 9시부터 정상적으로 운영되어 현장 방문 접수의 불편을 피할 수 있었다. 다만 국민신문고 및 행정안전부 정보공개 시스템은 복구가 지연되고 있어 당분간 인근 교육청 민원실 또는 학교 행정실을 통한 방문 접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한 중앙부처 및 지자체, 문서24 사용기관 간 공문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복구 전까지는 팩스 및 이메일을 활용한 대체 송수신이 필요하며 문서 수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법령 정보 열람 서비스인 국가법령정보센터의 복구도 지연되고 있어 도교육청 자치법규는 도교육청 누리집 내 ‘뉴스/소식’–‘법무행정’–‘자치법규’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추가 복구 상황은 누리집 및 내부업무시스템을 통해 수시로 공지될 예정이다.
한편 국가사이버안보센터는 9월 29일 국정자원 화재 장기화에 따라 사이버 위기경보를 ‘주의’ 단계로 상향 조정했으며 도교육청도 해킹 등 사이버 위협 상황에 대비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김광수 교육감은 “이번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이 ‘심각’ 단계의 재난 상황에 놓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과 학교 현장의 큰 혼란은 피할 수 있었다”며 “연계 서비스의 완전한 복구 전까지는 불편이 지속될 수 있어 추석 연휴를 포함한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향후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지털 재난 대응 체계를 재정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뉴스시대. 무단전재-재배포 금지]